4보증금 정산 시 연체, 원상복구비, (개인 및 공용공간 청소 불이행시) 청소비, 공과금 등을 제하고 보증금 반환이 이뤄집니다.
5보증금 정산 시 공과금 납부를 위해 10만원을 제외하고 퇴실정산해드립니다. 사용하신 가스, 전기, 수도 요금의 일부는 퇴실 이후 1~2개월 후 고지서가 발송되어, 퇴실 후 보증금 정산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잔액은 공과금 정산 후 반납해드리며, 부족분은 청구됩니다.
* 1년 이상 거주, 계약기간 만료 전 퇴실 절차
1퇴실 서류 등기 도착일로부터 2개월 후에 퇴실을 진행해드립니다 (단, 퇴실일이 집주인과 드림큰하우스와의 잔여 계약기간이 1년 이하일에 해당할 경우 불가_길음점의 경우 2023년 5월 18일 퇴거 신청분까지만 인정. 이후 신청자는 계약기간 준수 또는 대체자 확보시 퇴거) 2보증금 정산 시 연체, 원상복구비, (개인 및 공용공간 청소 불이행시) 청소비 등을 제하고 보증금 반환이 이뤄집니다 3보증금 정산 시 공과금 납부를 위해 10만원을 제외하고 퇴실정산해드립니다. 사용하신 가스, 전기, 수도 요금의 일부는 퇴실 이후 1~2개월 후 고지서가 발송되어, 퇴실 후 보증금 정산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잔액은 공과금 정산 후 반납해드리며, 부족분은 청구됩니다. 4마지막 달 월이용료는 입주일 기준으로 정산을 진행합니다. 일주일 기준으로부터 10일 이전에 퇴실서류가 도착하면 월이용료 기준 일할계산, 10일이 지나서 도착하면 한 달분의 월이용료를 청구합니다 예시1: 2022년 1월 10일 입주, 퇴거서류도착일 2023년 3월 20일, 정산일 2023년 5월 20일 예시2: 2022년 1월 10일 입주, 퇴거서류도착일 2023년 3월 21일, 정산일 2023년 6월 10일
* 부득이한 사정으로 인한 1년 미만 거주 후 퇴실 시의 절차
1입주자의 거주 안정성을 위해 최소 1년 이상 거주하실 분들만 입주를 진행함에도 단기 입주 후 돌연 일방 해지 통보를 하시는 분들은 퇴실자에게 유리한 계약해지를 원칙적으로 해드리지 않고 있습니다. 퇴실 사유에 대한 상호 성실한 설득과 이해과정이 필요합니다. 서로 충분히 이야기 하는 것이 오해와 비용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사전에 연락주시고 부득이한 사정에 대해 말씀해주세요. 2퇴실 희망자는 신규 입주자를 구하고 퇴실절차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운영 측은 별도의 도움을 드리지 않습니다. 계약 해지 시 신규입주자를 모으는데 든 비용을 저희에게 청구하지 않는 조건 하에 계약해지 동의를 해드리고 있습니다. 혹여 입주자 모집과정에서 운영측에게 도움을 요청하시거나 운영측이 대체 입주자를 구해드리는 경우 20만원의 홍보비용이 청구됩니다. 신규 입주자가 결정되기까지 계약은 지속됩니다. 3퇴거 예정일을 1년에 맞추려고 퇴거신청서를 10개월 산 뒤 보내시는 경우, 1년 미만 거주하신 것과 동일한 절차로 진행합니다. 퇴거의향을 말씀하실 때 1년 이상을 거주하셨어야 1년 이상 거주 절차대로 퇴실 진행을 도와드립니다.
시설 훼손 및 원상복구 건에 대하여
1퇴거 시 훼손 판단은 입주 시 기준으로 합니다.
2절차는 먼저 훼손부에 대해 시중 견적을 받아 보신 뒤, 비용 방법 등을 운영 측과 상의 후 복구합니다.